728x90

1. 에드센스 플러그인 설정

관리자 페이지 -> 플러그인 -> 구글 서치콘솔

 

관리자페이지

2. 구글 서치콘솔에 구글계정 연결

관리자 페이지 -> 플러그인 -> 구글 서치콘솔 -> 계정연결하기

구글 계정 선택하기

엑세스 권한 선택하기 (모두체크)

티스토리 에드센스 등록완료 확인하기

구글 서치콘솔 이동

URL검사, 사이트맵 확인하기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

 

Google Search Console

Search Console 도구와 보고서를 사용하면 사이트의 검색 트래픽 및 실적을 측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Google 검색결과에서 사이트가 돋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search.google.com

 

계정 연결하기
구글계정 선택
엑세스항목선택
등록완료
서치콘솔 바로가기
URL검사
사이트맵 확인

728x90
728x90

1. gitea 초기 설정

웹브라우저에 지정한 주소로 접속하여 초기 설정합니다.

사이트제목, Server Domain, Gitea HTTP 수신 포트, Gitea 기본 URL을 확인하여 본인에 맞게 설정합니다.

필요할 경우 관리자 계정 설정을 합니다. (설정안할 경우 첫번째 생성 계정이 관리자 계정이 됩니다)

초기설정

728x90
728x90

1. Docker 설치

패키지 센터 -> docker 검색후 설치

docker 설치

2. Docker 실행

docker 실행

3. gitea 검색 & 다운로드

레지스트리 -> gitea 검색 -> gitea 선택 -> 다운로드

gitea 다운로드

4. gitea 버전 선택 & 설치

버전별로 기능 차이가 있으니 자기에게 맞는 버전 선택

gitea/gitea:1.19.0-lunux-amd64

gitea 버전선택

https://gitea.io/en-us/

 

Gitea

Gitea - Git with a cup of tea A painless self-hosted Git service. Gitea is a community managed lightweight code hosting solution written in Go. It is published under the MIT license.

gitea.io

5. 이미지 실행

이미지 실행

6. 네트워크 지정

네트워크 지정

7. 일반 설정

전원 공급이 끊겼을대 & 네트워크 불량일때를 위해

(v) 자동 재시작 활성화

외부에서 접속을 위해

(v) web station을 통해 웹 포털 활성화

8. 포트설정

로컬 포트 220으로 변경

포트설정

8. 볼륨 설정

특정 볼륨에 매핑하려면 내용을 추가한다.

볼륨 설정

9. 요약

요약

9. Web Station 구성

특정 포트를 사용하려면 80/443을 해제하고

HTTP, HTTPS에 포트번호를 입력한다.

 

728x90
728x90

1. 퀵커넥트주소로 접속불가

내부IP에서 IP기반의 접속은 별다른 설정없이 가능하나

퀵커넥트주소로 접속하려면 설정이 필요하다.

내부IP로 접속
퀵커넥트아이디로 접속

 

2. 내부 공유기 DNS서버 설정하기

네트워크 설정 -> 유선 네트워크 설정 -> 기본 DNS 주소에 나스IP주소를 적고 설정을 적용한다. (재부팅)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 /all을 입력하여 DNS 서버가 설정한 IP로 되었는지 확인한다.

 

(AS : 보조 DNS도 NAS로 바꿔야한다)

기본 DNS, 보조 DNS 동시에 요청하여 빨리 응답하는걸 사용하기에

보조 DNS가 주로 잡힐수밖에 없는 구조다.

DNS서버 설정
DNS 서버 IP주소 확인

3. 시놀로지 DNS SERVER 설정

패키지 센터에서 DNS SERVER를 설치한다.

DNS SERVER 실행 -> 영역 -> 생성 -> 도메인 이름, 기존 DNS서버(나스IP주소) 입력후 저장

생성된 영역을 더블클릭한다.

NS유형, A유형이 기본적으로 생성되있는 상태에서

A유형 CNAME유형을 추가한다.

A유형 - IP주소 추가

CNAME유형 - 이름에 * 정식이름에 도메인주소 추가

해상도는 이미지와 같이 설정되있는지 확인한다.

 

 

영역생성

 

 

영역 생성

 

유형 추가

 

A 유형
CNAME 유형
해상도

 

5. 내부ip에서 퀵커넥트 주소로 접속하기

반영까지 1일정도 소요된다.

퀵커넥트

 

 

 

728x90
728x90

1. 퀵커넥트 설정하기

제어판 -> 외부엑세스 -> 퀵커넥트에 이동하여 사용할 퀵커넥트 아이디를 입력한다.

퀵커넥트 설정

2. 외부에서 퀵커넥트 아이디로 접속하기

생성된 퀵커넥트 아이디로 외부에서 접속해본다.

주소는 아래와 같다.

http://퀵커넥트아이디.synology.me:5000/

https://퀵커넥트아이디.synology.me:5001/

 

 

 

728x90
728x90

1. 통신사 공유기 DHCP 할당

외부에서 언제든 접속하려면 나스에 내부IP를 고정할당 해줘야한다.

나는 유플러스 공유기를 사용중이다.

 

상태정보 -> DHCP 할당 정보 -> DHCP 고정 할당

NAS의 MAC ADDRESS 정보를 확인하여 하드웨어 주소에 적어주고 고정으로 사용할 IP를 설정해준다.

나의 경우 2대 기기를 고정 할당하였다.

서브 공유기 : 192.168.219.150

시놀로지 나스 : 192.168.219.151

 

할당한뒤 목록에서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DHCP 고정 할당
DHCP 할당 정보

2. 통신사 공유기 DMZ 설정 

네트워크 설정 -> NAT 설정 -> DMZ 서버(포트포워딩) 

DMZ 사용함 (선택) -> DMZ로 사용할 IP주소 입력 -> 설정 적용

이렇게 하면 외부에서 시놀로지 나스에 접속할 준비가 된다.

3. 포트포워드 설정

사용할 포트를 설정해준다.

포트설정

 

728x90
728x90

1. 내가 레이드1이 필요한 이유

회사 업무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문제가 생겨도 복구할수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동일한 정보를 2개의 디스크에 보관하여 1개 디스크 오류가 발생해도 복구할수있게 해준다.

 

레이드1

2. 준비물

레이드1에 필요한 저장소2개

 

3. 저장소 관리자 실행하기

메뉴 -> 저장소 관리자

 

메뉴
저장소관리자 아이콘
저장소 관리자

4. 스토리지 풀 생성

저장소 -> 생성 -> 스토리지 풀 생성 -> RAID 1 선택 -> 드라이브 선택 -> 드라이브 검사(건너뛰기) 

스토리지 풀 생성
스토리지 풀 만들기
레이드1 선택

 

드라이브 선택
ㅕㅇ고문구
데이터 삭제 경고

 

 

구성완료

 

 

 

 

https://kb.synology.com/ko-kr/DSM/help/DSM/StorageManager/storage_pool_what_is_raid?version=7

 

RAID 유형 선택 | DSM - Synology 지식 센터

 

kb.synology.com

 

728x90
728x90

https://www.etnews.com/20210308000203

 

'공공SW 하자보수' 막무가내식 관행 없앤다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가 하자보수책임범위 명확화 가이드라인(가칭) 마련에 착수했다. 이르면 올 상반기 기획재정부 계약예규에 반영돼 무상 하자보수 범위의 부당한 확대와 이로 인한 소프

www.etnews.com

https://www.cisp.or.kr/archives/23688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 (2021년 개정판)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에서는 국가기관 등에서 소프트웨어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이에 SW개발비 등에 대한 예산수립, 사업발주, 계약 시 적정대가를 산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SW사업 대가산

www.cisp.or.kr

https://www.cisp.or.kr/wp-content/uploads/2021/12/21%EB%85%84_SW%EC%82%AC%EC%97%85_%EB%8C%80%EA%B0%80%EC%82%B0%EC%A0%95_%EA%B0%80%EC%9D%B4%EB%93%9C_%EC%A3%BC%EC%9A%94_%EA%B0%9C%EC%A0%95%EC%82%AC%ED%95%AD.pdf

 

목적 : 무상보수 1년 기간 악용 부당요구 방지

 

하자보수 요청 사례 적정 업무범위
3. 유지보수 요건

가. 일반 요건

(1) 제안사는 하드웨어 및 적격화된 패키지 및 개발된 시스템에 대한 유지보수 내역, 장애 처리 절차, 유지보수 체계 등 유지보수를 위한 방안을 분야별로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2) 제안사는 각종 장애 발생시, 즉각적인 원인 분석 및 복구 등 유지보수를 보장하기 위하 여 기술지원부서 및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조직 구 성 및 인원현황을 제출해야 한다.

(3) 제안사는 검수 요청 시 부문별 유지보수 계 획 및 유지보수인력 명단, 유지보수 방법 등 제반서류를 제출하고, 유지보수기간 동 안 중 내용변경이 불가피한 경우 발주기관 협의 및 승인 후 변경가능

(4) 제안사는 본 시스템의 만족한 동작에 대해 책임을 지며, 시스템의 원활한 정상 작동을 위해 분기별 전체 또는 분야별로 예방점검 서비스 및 최적화를 실시해야 한다.
‘유지관리’로 용어 변경 권고
→ 성능 요구사항 이외의 주기적인 예방점검은 유지관리 업무임
나. 무상 하자보수

(1) 제안사는 본 사업과 관련하여 납품한 모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 산출물에 대 해 준공검수일의 익일로부터 1년간 또는 납 품사가 제안한 무상 하자보수 기간 중 긴 기간으로 무상 하자보수하여야 한다.

(2) 안정화 기간 중에는 사업에 참여한 제안사" 의 인원 중 발주기관이 지정한 인원으로 24 시간 상주하여 시스템 운영 및 응급조치를 수행하여야 한다.

(3) 무상 하자보수 기간 중 월 1회 이상 숙련 기술자에 의한 정기점검을 실시하여야 한 다.

(4) 정기점검시에는 공급된 모든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점검하여 그 결과를 서면으로 발주 기관에 제출하여야 하며, 예방정비를 통해 시스템 장애 요인을 사전에 차단,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5) 무상 하자보수 계약 중 패키지 소프트웨어 의 신 버전 출시 및 하드웨어 장비의 Firmware 업그레이드가 있는 경우, 업그레이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호환성의 문제 등을 사전 테스트하여 그 결과를 서면으로 발주기관에게 제출하고 발주기관의 승인을 받아, 요청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무상으로 업그레이드를 실시하여야 한다.

(6) 무상 하자보수 기간 중 시스템의 중대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최초 장애복구 요청시간 으로 부터 30분 이내에 응급 복구하여야 하 며, 일반적인 장애는 4시간 이내에 복구하 여야 한다. 단, 천재지변 등의 불가항력으로 인한 장애 발생시는 예외로 한다.

(7) 장애 복구 후에는 장애요인, 조치결과, 유 사장애 예방 대책 보고서 등을 서면으로 발 주기관에게 제출하고 장애예방 대책을 즉각 실시하여야 한다.

(8) "제안사"는 무상 하자보수 기간 중에 기술 지원 콜센터를 24시간 운영하여, 발주기관 이 시스템 운영 중 수시로 분야별 전문가의 기술지원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9) "제안사"는 계약 시 첨부 상기 무상 하자보 수 수행 확약서를 "제안사"의 대표이사 명 의로 발주기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0) 사업기간 내 동일 장비에서 장애가 3회 이상 발생한 경우, 발주기관은 해당 장비에 대한 교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제안사"는 동등 이상의 장비로 교체를 실시하여야 한 다.
→ 인력의 24시간 상주 요구는 하자보수 업무범위를 초과하며, 운영업무 범위에 포함해야 함

→ 무상하자보수는 하자발생이 전제가 되는 업무이므로 정기점검은 유지관리 업무 범위에 포함해야 함

→ 유지관리 업무 범위이며, 구축 사업이 끝나면서 곧바로 유지관리 계약이 준비되도록 해야 함

상용SW 또는 공개SW에 관한 유지관리 업무 범위이며, 구축 사업이 끝나면서 곧바로 유지관리 계약이 준비되도록 해야 함

→ 제조사 정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메이저 업그레이드는 유상 구매하는 것을 기본으로 함

→ HW Firmware 변경에 따른 SW개선은 업데이트이며, 유지관리에 포함

→ 무상하자보수기간이더라도 장애 발생을 포착하고 원인을 파악하는 업무는 유지관리 업무이며, 구축 사업이 끝나면서 곧바로 유지관리 계약이 준비되도록 해야 함

콜센터는 SW운영 업무 범위임
다. 유상 유지보수

(1) 무상 하자보수 종료 후 해당 시스템이 가동 되는 동안 발주기관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제안사”는 유지보수 계약에 반드시 응해 야 하며, 연간 유지보수 요율은 계약금액의 8% 이내에서 체결함을 원칙으로 한다.

(2) 발주기관의 필요에 따라 각 부문별 분리 유 지보수 계약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각 부문별 구축비용에 대한 상기 유지보수 요율을 적용함을 원칙으로 하되, 일부 도입 SW 솔루션과 적격화 산출물에 대한 유지보 수 요율은 별도로 협의해 정할 수 있다.

※ 연간유지보수비 산정을 위해 “제안사”는 사업 완료 후 각 부문별 시스템 개발비용에 대한 내역서를 별도로 제출해야 함.
→ “유지관리(당연히 유상)는 발주기관이 계약목적물을 인수한 직후부터 계약을 체결하여 시행하여야 한다.”는 (계약예규) 용역계약일반조건 제58조 (하자보수 등) 4항에 따르면 무상하자보수기간과 무관하게 구축 또는 구매 사업이 끝나자마자 시작될 수 있도록 해야 함

유지관리 요율도 권고수준(10~15%)에 비해 너무 낮음
728x90

+ Recent posts